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해외여행을 할 때 종종 마주치는 입국신고서나 전자입국 시스템(TDAC 등)에서는 ‘직업(Occupation)’을 영어로 입력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 특히 최근 디지털 입국 방식이 확대되면서, 사전에 온라인으로 작성할 때 올바른 직업 표현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. 아래는 자주 사용하는 직업의 영어 표기 예시입니다. 자신의 상황에 맞는 표현을 그대로 입력하시면 됩니다.
대표 직업 영어 표기 정리
한국어 | 영어 표기 |
---|---|
회사원 | Office Worker / Company Employee |
경영자 (사업체 대표) | Business Owner / Executive |
자영업자 | Self-employed / Small Business Owner |
학생 | Student |
무직자 | Unemployed |
프리랜서 | Freelancer |
가정주부 | Homemaker |
공무원 | Government Employee |
군인 | Soldier / Military Personnel |
의사 | Doctor |
간호사 | Nurse |
교사 | Teacher |
교수 | Professor |
엔지니어 | Engineer |
예술가 | Artist |
직업이 없거나 애매한 경우는?
정규직이 아니거나 특별한 직함이 없다면 아래와 같이 작성해도 무방합니다.
- 무직자: Unemployed
- 단기 계약직, 알바: Temporary Worker / Part-time Worker
- 취업 준비 중: Job Seeker
입력 팁
- 영문 철자를 틀리지 않도록 주의하세요.
- 직업란은 보통 자유 입력이므로, 두 단어 이내로 간결하게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.
- 정확한 직함이 없다면 일반적인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무난합니다.
마무리
해외 입국신고서 작성 시 직업란은 단순히 형식적인 항목이지만, 경우에 따라 출입국 심사에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도 합니다. 출국 전 미리 자신의 직업을 어떻게 영어로 써야 하는지 알아두면, 온라인 입력이든 서면 작성이든 당황하지 않고 빠르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.
특히 태국의 TDAC와 같은 디지털 신고서의 경우, 모든 정보를 영문으로 입력해야 하니 이 리스트를 활용해 정확하게 작성해보세요.
반응형